유성구노인복지관

실버칼럼

조회 수 1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기록적인 저출산을 겪고 있는 한국이 2050년이면 일본 및 유럽, 미국보다 심각한 고령화 사회에 들어설 전망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4(현지시간) 유엔의 세계 인구전망 보고서를 인용해 한국의 노인부양률이 급등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노인부양률은 경제 활동에 참여하는 15~64세 생산가능인구 대비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을 뜻한다.

한국의 노인부양률은 지난해 기준 24.7%로 일본(51.2%)이나 이탈리아(37.9%), 스페인(30.7%), 미국(33.8%)보다 낮은 수준이며 중국(19.9%)과 비슷하다.

   그러나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훨씬 빠르다. 2050년 기준 한국의 노인 부양률은 75.2%로 일본(73%), 이탈리아(71.8%), 스페인(70.2%), 미국(51.9%), 중국(51.5%)을 앞지를 전망이다. 이처럼 가파른 고령화 현상은 경제적으로 심각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

    미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지난 1월 보고서에서 2025년 기준 신용 등급이 투기 등급(정크)’인 국가 비율이 전체 33.3%, 최우수 등급(AAA) 비율은 18.52%로 예상했다.

    그러나 2060년이 되면 정크 비율은 49.38%까지 뛰고 AAA 비율은 2.47%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다른 신용평가사인 피치는 지난달 특히 한국을 언급하며 2050년 기준으로 한국과 대만, 중국의 고령화 및 그에 따른 재정 위험이 심각해진다고 우려했다.

    S&P, 피치와 함께 3대 신용평가사로 불리는 무디스 역시 지난달 보고서에서 한국의 출산율이 지난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며 생산가능인구가 20202040년 사이 24% 줄어든다고 전망했다. 무디스는 그 결과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2025년 이후 약 2% 수준으로 떨어진다고 내다봤다. [파이낸셜뉴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8 1인 가구 고령화 추세 류재룡 2024.11.06 58
527 마흔 살이 되면서 준비해야할 노후준비 7가지   류재룡 2023.11.28 329
» 유엔 인구전망 보고서, 韓 노인부양률 급증 전망 류재룡 2023.08.22 142
525 노인의 10가지 유형 류재룡 2023.05.19 372
524 인생 후반에 5가지 리스크   류재룡 2023.04.04 276
523 고령화시대의 3가지 충격   류재룡 2023.04.04 277
522 생체나이 고치기 류재룡 2023.04.04 133
521 노년에 조심해야할 10가지 2 류재룡 2023.04.04 165
520 노년에 조심해야할 10가지 2 류재룡 2021.12.06 535
519 행복한 노후 위해 필요한 조건 2 류재룡 2021.12.06 505
518 노후생활을 위한 소비습관2 류재룡 2021.08.12 256
517 노후생활을 위한 소비습관 류재룡 2021.08.12 249
Board Pagination 1 2 3 4 5 6 7 8 9 10 ... 44
/ 4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